다이어트, 건강관리, 몸매관리 맞춤형시스템
증상으로 질환 구분하는 법
허리 통증은 질환별로 증상이 조금씩 다르다. 디스크의 경우 급성일 때는 갑작스럽게 허리가 아프고 다리가 저리거나 당긴다. 허리가 아파 다리를 들어올릴 수 없다. 만성일 때는 오래 앉아 있거나 허리를 숙이기 힘들다. 앉았다 일어설 때 허리가 아픈 게 특징이다. 반대로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앞으로 굽혔을 땐 아프지 않다. 허리보다 엉덩이뼈, 다리, 발의 통증을 호소한다.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 말고 병원을 찾는 게 현명한 방법이다
치료법 선택할 때
척추질환은 약물·물리치료 같은 보존요법을 시행해도 개선되지 않으면 주사치료, 비수술(시술), 수술까지 순차적으로 치료한다. 그러나 근력이 떨어졌거나 대소변 장애가 왔을 때, 참기 힘든 통증을 느끼면 신경이 손상됐다는 의미로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. 이럴 땐 중간단계 없이 바로 수술이나 이를 대체할 비수술 요법을 시행한다. 특히 고령자나 다른 질환이 있는 환자라면 의료진과 상의해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치료법을 결정해야 한다.
시술(수술) 후 관리법
디스크 시술(수술) 후 상처를 관리할 때 뜨거운 찜질을 하는 경우가 있다. 직접적인 온찜질은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수술 후 한 달 동안은 피하는 게 좋다. 시술 후에는 디스크에 수분이 부족해지기 쉽다. 물을 많이 마셔 수분을 보충하면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. 약해져 있는 인대나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선 무릎 당기기, 상체 들어올리기 같은 운동을 꾸준히 한다. 신체의 자생력을 높이고 세포와 조직을 증식시키는 주사치료도 고려할 수 있다.